세상에서 버려진 사람들, 그리고 그곳으로 끌려간 날
1980년대 부산,
경찰차의 경광등이 어둠을 갈랐습니다.
거리에서 잠을 자던 아이, 집이 없는 노인, 시끄럽다고 민원이 들어간 장애인,
심지어 술집에서 종업원 일을 하던 여성까지… 이유는 다양했습니다.
하지만 그 끝은 한 곳이었습니다.
형제복지원.
그곳은 이름만 ‘복지원’이었을 뿐,
안에 들어간 순간, 세상과 완전히 단절되는 지옥의 수용소였습니다.
“우리를 가둔 이유는, 살아있다는 죄였습니다”
형제복지원은 1975년부터 1987년까지 3,500명 이상을 강제로 수용했습니다.
피해자들의 증언은 차마 입에 담기 힘들 정도입니다.
- 하루 종일 이어지는 구타와 폭행
- 이유 없는 감금과 굶주림
- 강제 노동, 그리고 탈출 시도 시 참혹한 보복
공식 보고서에 따르면 사망자만 최소 513명,
그중 일부는 병에 걸렸지만 치료 한 번 못 받고 숨을 거두었습니다.
복지원의 ‘법’은 폭력이었습니다
그곳에서는 대한민국의 법도, 인권도 존재하지 않았습니다.
“규칙”이라 부른 건 단지 관리자의 기분이었고,
한 번 찍히면 맞고 굶기고, 심지어 사라지는 일도 일상이었습니다.
피해 생존자 김모 씨의 증언입니다.
“아침에 옆자리에 있던 사람이, 저녁이 되면 사라졌어요.
아무도 그 이유를 묻지 않았습니다.
왜냐하면 묻는 순간, 다음은 내가 될 테니까요.”
권력과 결탁한 ‘지옥’
형제복지원 원장은 부산 지역 유지로, 정치권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습니다.
수용자 숫자만큼 국가보조금이 들어왔고,
이들은 사람을 숫자로만 취급했습니다.
“많이 잡아오라”는 지시는 결국 거리의 약자를 사냥하는 명령이었습니다.
1987년, 드디어 드러난 진실
1987년 1월,
도망쳐 나온 한 소년의 증언이 언론에 보도되며,
그동안 숨겨졌던 참상이 세상에 알려졌습니다.
경찰이 급습했을 때, 복지원 안은
- 찢어진 옷을 걸친 아이들
- 뼈만 남은 노인들
- 무표정한 얼굴로 서 있는 수백 명의 사람들
숨소리마저 죽어 있었습니다.
그러나 정의는 완성되지 못했습니다
당시 원장은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횡령죄로만 처벌받았고,
불법감금·폭행에 대한 책임은 인정되지 않았습니다.
피해자들은 거리로 나왔지만, 국가의 사과도, 보상도 받지 못한 채
수십 년을 살아야 했습니다.
지금도 남아 있는 상처
형제복지원 생존자들의 삶은 여전히 이어지고 있습니다.
어린 시절의 기억이, 몸의 흉터가,
그리고 ‘버려진 인간’이라는 낙인이 평생을 따라다닙니다.
그들은 말합니다.
“우린 죽지 못해 살아남았습니다.
이제라도 진실이, 우리의 존재가 기록되길 바랍니다.”
- “한국판 아우슈비츠, 형제복지원의 실체”
- “살아남은 이들이 말하는 지옥”
- “513명 사망, 아직도 사과 없는 국가”
잊지 않겠습니다
형제복지원은 단순한 과거 사건이 아닙니다.
국가와 사회가 약자를 어떻게 다룰 수 있는지,
그리고 침묵이 어떻게 지옥을 가능하게 만드는지를 보여준 사례입니다.
우리가 이 이야기를 계속 꺼내야 하는 이유는 하나입니다.
다시는 이런 일이 반복되지 않도록.
'오늘의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명 아파트, 필로티 주차장서 화마!…최고 5명 사망·60명 부상 참혹 현장” (1) | 2025.08.06 |
---|---|
“화장실서도 악취, 복도 틈 벌어져…29억 신축 아파트가 무너진다?” (0) | 2025.08.05 |
🕊️ 국방부, 오늘부터 대북확성기 철거 시작…판문점 선언 이행의 실천 조치 (0) | 2025.08.04 |
8월 1일부터 가족끼리 계좌이체해도 ‘세금폭탄’? 소문 vs 사실 완전 분석 (0) | 2025.08.01 |
🇰🇷 외국인이 아파트 사들인다? 정부 규제와 논란 정리 (0) | 2025.07.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