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경제
8월 1일부터 가족끼리 계좌이체해도 ‘세금폭탄’? 소문 vs 사실 완전 분석
just-do-0623
2025. 8. 1. 14:48
H2. “8월부터 가족 간 50만 원도 세금?” 소문과 진실
최근 **SNS와 유튜브에서 “8월 1일부터 가족 간 계좌이체도 국세청 AI가 실시간 감시해, 50만 원만 보내도 증여세가 붙는다”**는 주장이 급속히 퍼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국세청은 “전혀 근거 없는 소문”이라며 즉각 반박했습니다.
AI 감시 시스템은 중장기적인 계획 차원이며, 특정 금액 기준으로 모든 개인 이체를 모니터링하겠다는 발표는 없다고 설명하셨습니다.
즉, 오늘부터 가족에게 50만 원 송금한다고 자동으로 증여세가 매겨지는 것은 전혀 사실이 아닙니다. 하지만 반복적, 정기적으로 송금하고 그 자금이 축적되는 경우에는 증여세 과세 대상이 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합니다.
국세청의 실제 입장과 AI 활용 범위
국세청 관계자는 다음과 같이 밝혔습니다:
- 기업과 달리 개인의 소액 거래까지 일일이 감시하지 않는다
- AI 시스템은 이미 존재하지만, ‘조세 포탈 혐의’가 명확할 경우에만 활용
- 예를 들어 현금 1천만 원 이상 입출금이 반복될 경우, 금융감독원 시스템과 연계해 모니터링 대상이 될 수 있음은 인정했습니다
즉, 60~70만 원 정도의 가족 간 이체는 기존과 동일하게 생활비 대용으로 인식되기 때문에 문제되기 어렵다고 볼 수 있습니다.
증여세 기준과 안전한 이체 가이드
법적 기준 정리
- 2025년 기준으로 가족 간 계좌이체도 **‘증여세 검토 대상 금액’**으로 포함되기 시작했습니다.
- 단, 10년 누적 기준으로 성인 자녀는 5천만 원, 미성년 자녀는 2천만 원까지는 비과세입니다.
- 따라서 1년에 600만 원을 송금해도 가능한 범위 내라면 문제는 없지만, 반복·정기·누적 송금 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안전한 이체 전략 체크리스트
- 송금 목적을 꼭 이체 메모에 기재하세요 (“생활비/등록금/의료비” 등).
- 가능하면 송금 금액을 매월 일정하지 않게 조정하세요 (예: 45만~55만 원 랜덤).
- 생활비 사용 내역이나 영수증을 보관해 두시면, 증여가 아닌 경제적 지원임을 입증할 수 있습니다.
- 고액군: 하루 1,000만 원 이상 현금 거래는 자동 보고 대상이며, 계좌 이체도 일정 패턴 이상일 경우 조사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클릭 포인트 요약
- “8월부터 가족 간 50만 원 송금하면 국세청 추적?”
- “AI 세무조사 시대, 생활비도 의심받는다고?”
- “메모 남기세요! 내 통장은 안전 수호자의 기록입니다.”
마무리 메시지 – 오늘부터 시작하는 안전한 가족 자금 이전
가족이라도 계좌이체는 완전히 자유로울 수 없습니다.
그러나 AI 감시와 증여세 과세는 조건이 갖추어진 경우에만 이루어지기 때문에 지나친 불안은 불필요합니다.
✔ 생활비, 등록금 등을 가족에게 보내신다면,
✔ 메모, 사용 증빙, 금액 변동 등 소소한 관리 습관으로
세금 걱정 없이도 안전한 계좌이체가 가능합니다.